반응형

인터넷은 전기만큼이나 기본적인 자원처럼 느껴집니다. 그런데 갑자기 인터넷이 안될때, 그 공백은 생각보다 훨씬 크고 짜증스럽습니다. 일도 끊기고, 검색도 안 되고, 심지어 TV나 음악 스트리밍까지 멈춰 버리는 상황, 정신이 잠시 멍해진다 해도 무리는 아닙니다. 이 글에서는 인터넷이 안될때 당황하지 않고 차분히 시도해볼 수 있는 조치들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. 기술자가 오기 전, 적어도 스스로 해볼 수 있는 건 해봐야 하니까요.

인터넷이 안될때

다양한 원인이 존재

인터넷이 안 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왜 그런지 가늠해보는 것입니다. 이유는 의외로 여러 가지입니다.

  • 공유기 자체의 오류
  • 모뎀 또는 회선 문제
  • 컴퓨터 설정의 충돌
  • 운영체제나 드라이버 문제
  • 통신사 장애 또는 요금 미납

특히 무선인터넷(Wi-Fi)은 간섭에도 민감합니다. 같은 공간에서 어떤 사람은 되고, 어떤 사람은 안 될 수도 있습니다. 이럴 땐 기기 문제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.

인터넷이 안될때 가장 우선적으로 조치해볼 사항들

복잡하게 생각하기 전에, 기본적인 것부터 확인하십시오. 오히려 이런 단순한 조치로 문제가 바로 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• 공유기와 모뎀의 전원을 모두 껐다가 30초 후 다시 켜기
  • 랜선이 확실히 꽂혀 있는지, 헐거워지진 않았는지 점검
  • 다른 기기로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여 문제 대상을 좁히기
  • 스마트폰 데이터를 잠깐 켜서 '통신사 전체 문제'인지 살펴보기

노트북 사용자라면 와이파이 스위치나 항공모드가 켜져 있는지도 체크해보십시오. 깜빡하기 쉬운 부분입니다.

 

관련 글: 노트북 와이파이 연결 안될 때 대처법, 차근차근 정리

조치 사항

조금 복잡하지만 해볼 가치가 있는 조치들

위 조치들로 해결되지 않는다면, 운영체제 설정이나 네트워크 드라이버 쪽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.

1. 윈도우라면 ‘네트워크 문제 해결사’ 실행

네트워크 문제 해결사
윈도우키 + S 키를 눌러 '네트워크 문제'를 검색해 보세요

2. 명령 프롬프트에서 IP 갱신 명령어 입력

윈도우키 + R 키를 눌러 CMD를 입력합니다.

cmd 실행

cmd가 실행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렵합니다.

ipconfig /release  
ipconfig /renew  
ipconfig /flushdns  

 

3. 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업데이트

우선 윈도우 키 + S 키를 눌러 검색을 통해 장치 관리자를 실행합니다.

장치 관리자 실행

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 중 사용 중인 네트워크 어댑터를 찾아 우클릭 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.

드라이버 업데이트

4. 기타

그리고 가끔은 백신이나 VPN이 인터넷 연결을 막기도 합니다. 잠시 꺼보고 다시 시도해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. 생각보다 그게 원인이었던 경우도 꽤 있습니다.

마치면서

인터넷이 안될때 당황하지 않고 차근히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 대부분은 기기 재부팅이나 단순한 설정 점검으로 해결되며, 나머지는 조금 더 기술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인터넷이 안될때의 원인은 다양하므로, 감으로만 판단하기보다는 체크리스트처럼 하나하나 점검해보는 방식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

공유기만 껐다 켜도 해결될 수 있나요?

네, 상당히 많은 네트워크 문제가 전원 재부팅만으로 해결됩니다.

 

랜선을 뺐다 다시 꽂아도 반응이 없습니다.

케이블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, 포트 접촉 불량일 가능성도 있습니다.

함께하면 좋은 글

컴퓨터 인터넷 연결 안됨, 쉽게 시도할 만한 6가지 방법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